Pages

Sunday, June 21, 2020

땀 악취증, 최근 5년간 연평균 7.4% 환자 감소세 - 한의신문

dalamlima.blogspot.com

국민건강보험공단(이사장 김용익·이하 건보공단)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‘땀 악취증’ 진료 환자를 분석한 질병통계자료를 공개했다.


인체에는 아포크린 샘과 에크린 샘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땀샘이 존재하는데, 액취증이란 주로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 표면에서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질환을 말한다.


땀 악취증으로 진료받은 건강보험 환자수는 최근 5년간 꾸준히 감소, ‘15년 4768명에서 ‘19년 3508명으로 연평균 7.4% 감소했다.


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환자가 전체의 73.9%를 점유했고, 40대 이상은 26.1%를 점유한 가운데 성별로는 이 기간 동안 여자가 남자보다 평균 1.24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. 실제 최근 5년간 평균 남자 환자는 1762명(44.6%), 여자 환자는 2180명(55.4%)으로 여자 환자가 약 1.24배 많았으며, ‘18년 이전 4년간은 남녀 모두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‘19년에 남녀 모두 전년대비 증가 했고, 최근 5년간 남자는 연평균 8.6% 감소, 여자는 6.4% 감소했다.


이와 관련 김지언 교수(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)는 환자수 감소 및 30대 이하에서 빈발하고 있는 원인에 대해 “유병률 자체가 줄어들었다기보다는 땀 분비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의약품들이 널리 알려지면서 병원을 바로 찾는 환자의 수가 감소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”며 “또한 땀 악취증의 주된 원인이 되는 아포크린샘의 분비가 사춘기 이후 활발해짐에 따라 이 시기에 땀 악취증 환자의 수도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”고 설명했다.


또한 ‘19년 땀 악취증 환자는 겨울철이 가장 많은 40%를 차지했고, 계절별 점유율도 겨울이 가장 높은 40%를 기록하는 한편 여름 23%, 봄 22%, 가을 15% 순으로 나타났다. 


김지언 교수는 “땀 악취증은 땀 분비가 많은 시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증상은 여름에 가장 심할 것으로 생각된다”며 “그러나 땀 분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계절인 겨울은 환자들이 자신의 땀 악취증을 병적인 것으로 인식하기 쉬우며, 치료를 시행하기에도 수월한 시기로 여겨 겨울에 내원하는 환자 수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”고 밝혔다.


이밖에 최근 5년간 땀 악취증 환자수가 여성이 많고, 60대 이상부터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원인과 관련 김 교수는 “문화적·심리적 요인 및 호르몬 작용에 의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취에 민감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, 이러한 이유로 땀 악취증 여성환자가 남성환자보다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”며 “60대 이후의 유병율에 대해서는 따로 연구된 바 없지만, 이 역시 갱년기 후 호르몬 변화로 인해 땀 악취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성별 분포에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”고 덧붙였다.

1.jpg

Let's block ads! (Why?)




June 22, 2020 at 10:41AM
https://ift.tt/3hZclSq

땀 악취증, 최근 5년간 연평균 7.4% 환자 감소세 - 한의신문

https://ift.tt/3dUw0Ai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